스탠리 드러큰밀러·데이비드 테퍼·세스 클라만·빌 애크먼
2025년 3분기 13F 완전 요약 & 핵심 투자 전략 분석
2025년 3분기, 글로벌 헤지펀드 거장들은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을 크게 바꾸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특히 스탠리 드러큰밀러, 데이비드 테퍼, 세스 클라만, 빌 애크먼은 각자 매우 다른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며 투자자들에게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의 매수·매도 흐름을 완전히 정리하고, 투자자 입장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쉽게 풀어드립니다.

✔️ 1. 스탠리 드러큰밀러 (Duquesne Family Office)
“포트폴리오 전면 갈아엎기” 수준의 대대적 리밸런싱
이번 분기에서 가장 충격적인 움직임을 보인 인물은 단연 드러큰밀러입니다.
그는 지난 분기에 신규 편입했던 종목 상당수를 전량 매도하며,
포트폴리오를 사실상 완전히 새로 구성했습니다.
■ 핵심 변화 요약
- 기존 핵심 보유 종목 20개 이상 전량 매도
- 빅테크(Amazon, Meta, Alphabet, ARM) 대거 신규 편입
- 금융·주택건설주 대형 비중 확대(BAC, LEN, DHI)
- 성장·헬스케어 일부 감축 후 재배치
▶ 신규 매수 핵심 포인트
드러큰밀러는 이번 분기 테크 + 금융 + 경기민감주에 동시에 베팅했습니다.
빅테크 신규 편입
- Amazon
- Alphabet(GOOGL)
- Meta(META)
- ARM Holdings
금융/경기민감주 확대
- Capital One
- KBE ETF
- GE Vernova
- CRH
- Cleveland-Cliffs 등
테크 성장성과 경기 회복 기대감을 동시에 반영한 구조입니다.
▶ 비중 확대(ADD) 주요 종목
드러큰밀러 특유의 “확신 시 몰빵” 스타일이 이번에도 나타났습니다.
- BBB Foods: +228%
- Lennar(주택 건설): +210%
- Bank of America: +189%
- D.R. Horton: +165%
- Twilio: +155%
주택·은행주를 이 정도로 공격적으로 담는 건
금리 피크아웃 이후 경기 회복에 대한 강한 확신을 보여줍니다.
▶ 비중 축소 & 전량 매도
- Microsoft, Eli Lilly, Broadcom 등 지난 분기 신규 매수 종목 다수 전량 매도
- CHYM, YPF, STX 등 비중 대폭 축소
드러큰밀러는 최근 몇 년간 “방어적 성장주 중심 전략”을 펼쳤지만,
이번 분기는 완전한 로테이션으로 해석됩니다.



✔️ 2. 데이비드 테퍼 (Appaloosa Management)
“산업주·반도체·은행주로 전격 이동”
테퍼는 매 분기 시장 사이클에 맞춰 빠르게 움직이는 스타일인데,
이번에도 순간 회전력이 돋보였습니다.
■ 핵심 변화 요약
- 빅테크·중국 주식 비중 축소
- 미국 은행주 + 산업주 대거 매입
- AMD 신규 편입(2% 비중)
- Whirlpool·Goodyear·Qualcomm 대규모 비중 확대
테퍼는 이번 분기에 경기민감업종으로 강력한 로테이션을 진행했습니다.
▶ 신규 매수 핵심
AMD 신규 편입이 단연 눈에 띕니다.
포트폴리오 2% 이상을 바로 할당한 건 강한 자신감을 의미합니다.
그 외에도,
- Fiserv
- American Airlines
- Truist, KeyCorp 등 다수의 미국 은행주
를 신규 편입했습니다.
즉, 테퍼는 금리 정상화 → 경기 회복 국면을 대비하는 모습입니다.
▶ 비중 확대(ADD) 주요 종목
- Whirlpool: +1,966% (약 20배 증가)
- Goodyear: +496%
- QUALCOMM: +255%
- 중국 관련 KWEB, Baidu도 일정 부분 추가 매수
이번 분기 테퍼 포트폴리오는
“전방위 경기 회복 + 반도체 업사이클 + 소비 회복”을 반영합니다.
▶ 비중 축소(Reduce)
- United Health: -91%
- Micron: -39%
- Amazon, Alphabet, Meta, MSFT 등 빅테크 전반 축소
- 중국주(PDD, JD)도 감축
테퍼는 빅테크 과열을 인식하고 일부 회수하는 전략을 선택한 모습입니다.



✔️ 3. 세스 클라만 (Baupost Group)
“가치주 중심으로 묵직하게 재편”
세스 클라만은 가치 투자의 대표적인 인물답게
이번 분기 안정적 가치주 중심 강화가 핵심입니다.
■ 핵심 변화 요약
- Elevance Health·QSR 비중 2배 이상 확대
- Union Pacific 신규 편입(7%대 비중, 매우 큼)
- Alphabet·WESCO 비중 30% 가까이 축소
▶ 신규 매수 핵심
- Union Pacific(UNP): 포트폴리오 7.43%
- Genuine Parts(GPC): 4%대 비중 신규
- Americold Realty Trust(COLD)
운송·필수소비·리츠 중심으로
안정적 현금흐름형 종목을 강화했습니다.
▶ 비중 확대(ADD)
- Elevance Health: +114%
- Restaurant Brands(QSR): +103%
- EXP, FERG도 꾸준히 증가
▶ 비중 축소
- WESCO: -31%
- Alphabet(GOOG): -29%
- WTW, LBTYK 등도 일부 정리
세스 클라만은 빅테크 일부 비중을 내리고
보다 가치 중심 포트폴리오로 이동 중입니다.



✔️ 4. 빌 애크먼 (Pershing Square)
“초집중 포트폴리오 그대로 유지”
애크먼은 이번 분기 변동이 거의 없습니다.
특유의 극단적 하이컨빅션(High Conviction) 전략이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 핵심 변화 요약
- GOOGL 비중 -9.7% 축소
- Uber, Brookfield, QSR 소폭 축소
- 신규 매수·전량 매도 없음
애크먼은 이번에도 장기 확신 종목만 유지하는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 보유 유지 종목
- Amazon
- Chipotle
- Hilton
- Howard Hughes
- Seaport Entertainment
- Hertz
애크먼은 경기·금리·정책 불확실성이 크다고 판단할 때
대체로 “움직이지 않는 전략”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 분기도 같은 흐름입니다.



📌 최종 정리: 4대 거장의 전략은 이렇게 갈린다
| 투자자 | 전략 성향 | 이번 분기 핵심 |
| 드러큰밀러 | 순발력·모멘텀 | 포트폴리오 전면 재편, 테크 + 금융 + 건설에 베팅 |
| 테퍼 | 사이클·매크로 중심 | 빅테크↓, 산업·은행·반도체↑ |
| 클라만 | 가치·보수적 | 운송·헬스케어·필수소비 중심으로 안정화 |
| 애크먼 | 초집중·장기보유 | 거의 변화 없음, 일부 리밸런싱만 진행 |



📈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이번 13F를 종합해보면 큰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빅테크에 대한 과열 우려 증가
- 드러큰밀러: 일부 매도 → 다시 신규 편입
- 테퍼: 빅테크 대규모 축소
- 클라만·애크먼: 소폭 조정
전반적으로 빅테크 비중을 줄이는 방향이 우세합니다.
2) 경기민감 업종(산업·은행·건설) 강화
금리 피크아웃과 경기사이클 턴어라운드를 반영한 움직임입니다.
3) 헬스케어·필수소비는 안정적 실적 기반으로 재평가
클라만의 선택이 대표적입니다.
4) 펀드마다 해석이 크게 달라지는 시기
거시 환경이 복잡할수록 운용자별 색깔이 극도로 드러나는 국면입니다.
따라서 단일 투자자를 무작정 따라가기보다,
각자의 논리를 해석해 포트폴리오 변화 방향을 참고하는 방식이 바람직합니다.
📌 참고 출처: https://t.me/fundeasy_choi/4854
하워드 막스·워렌 버핏·테리 스미스 13F 포트폴리오 총정리
하워드 막스·워렌 버핏·테리 스미스 13F 포트폴리오 총정리
하워드 막스·워렌 버핏·테리 스미스 13F 포트폴리오 총정리세계적인 투자자 3인의 분기별 13F 보고서를 통해 어떤 종목을 사고팔았는지 살펴보면, 시장의 흐름과 기관투자자들의 전략을 이해하
bybluetrain.com
워런 버핏의 마지막 주주서한
워런 버핏의 마지막 주주서한 변역버크셔 해서웨이 주식회사보도자료즉시 배포용 – 2025년 11월 10일, 오마하, 네브래스카오늘 워런 E. 버핏(Warren E. Buffett)은 A주 1,800주를 B주 2,700,000주로 전환하
bybluetrain.com
주식 투자 정보 연구소
finance.thesmileinfo.com
론 바론- 일론 머스크 인터뷰 핵심 정리
일론 머스크 인터뷰 핵심 정리: 옵티머스·xAI·Neuralink·AGI 그리고 투자 관점 분석일론 머스크가 론 바론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은 단순한 미래 전망이 아니라, 앞으로 인공지능·로봇·반도체·우
bybluetrain.com
멀티모달AI 시대
멀티모달 AI 시대, 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AI 산업이 또 한 번 진화의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텍스트 중심의 생성형 AI 단계를 넘어, 이제는 이미지·음성·영상 등 여러 데이터를 동시에 이
bybluetrain.com
AI 버블론, 새로운 논거로 등장한 GPU 감가상각 이슈
AI 버블론, 새로운 논거로 등장한 GPU 감가상각 이슈
AI 버블론, 새로운 논거로 등장한 GPU 감가상각 이슈최근 투자 시장에서는 다시 한 번 ‘AI 버블’ 논의가 뜨겁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순환 투자’나 ‘왼발이 오른발을 밟는 구조’라
bybluetrain.com